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소금빵맛집2

[달인 맛집 - 야미 브레드] 소금빵 or 시트롱 뺑드셀?! 가성비에 맛도 좋네! 야미 브레드  어머니가 살고 있는 아파트가 바로 옆인데...매번 차를 몰고 가니 그 옆 상가에 이런 빵집이 있는지는 몰랐다. 몇 주 전 주말 아침에 우연찮게 방송을 보다가 달인 방송에서 소금빵 맛집으로 1등을 거머쥐었던 곳. 야미 브레드가 바로 지척에 있다니 말이다.  몇 번 어머니 집에 갈 때마다 사려고 시도했으나, 방송의 힘과 타이밍을 맞추지 못해 매번 솔드 아웃!    그러다가 아침에 마침 시간이 맞아 방문했었다. 아침 시간인데도 매장에서 이미 빵과 커피를 마시고 있는 분들이 있었다. 역시 아직 인기가 시들지는 않은 듯, 그 말은 빵의 맛이 좋다는 의미리라!    이곳의 시그니쳐는 빵드셀. 소금빵이다. 빵드셀? 뺑드셀!그리고 방송에서 1등을 거머쥔 것은 시트롱 뺑드셀. 각각 하나씩 구매했다.  그리.. 2024. 12. 6.
[가양 가성비빵집 - 루브레드] 찐 가성비 소금빵! 가성비. 이제는 너무 흔한 단어가 되었다. 가격대비 성능이 좋은 물품. 종류와 상관없이 쓰이는 말이지만, 특히! 베이커리, 빵에서 만큼 이 단어가 더 유용하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빵이 너무 비싸다. Statista 사의 통계 발표에 따르면, 1kg 평균 밀 값이 우리나라가 압도적으로 높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15.59 달러, 2위인 스위스가 6.45 달러다. 스위스가 물가가 비싸기로 소문난 곳이라는 것은 다들 아는 사실인 것을 감안하면 밀의 가격이 얼마나 비싼 것인지 더욱 실감이 된다. 어쨌든, 밀 값뿐만 아니라 그 외 인건비, 임대료 등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을 것이다. 원인은 많고 그 결과 오로지 가격 하나로 귀결된 것이겠지만, 솔직히 비싸긴 비싸다. 동네 근처에 그런 빵 값을 비웃듯 가성비로.. 2023. 1. 29.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