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조선시대2

첩 반상, 국과 밥은 제외라고? 9첩, 12첩 반상의 의미 첩 반상의 의미   흔히, 한식집에 갈 때 12첩 반상이라는 이야기들을 많이 한다. 제대로 한 상 차렸다는 의미로 흔히들 쓰는데... 여기서 첩은 반찬을 반상은 밥상을 의미한다고 한다.  국어사전에 따르면[첩]은 의존명사로 반상기 한 벌에 갖추어진 쟁첩을 세는 단위  [쟁첩]은 명사로 반찬을 담는 작은 접시, 흔히 놋쇠 따위로 만들며 다섯이나 일곱, 또는 아홉 개로 한벌을 이룬다.  [반상]은 명사로 격식을 갖추어 밥상 하나를 차리도록 만든 한 벌의 그릇. 쉽게 이야기해 일정 개수의 쟁첩이 놓인 한 상을 말하는 것이다.  가장 쉽게 말해서... O첩 반상에서는 밥, 국, 초장과 같은 장류 그리고 김치는 제외한다. 젓갈, 나물, 쌈도 첩에 제외  나머지 생선, 숙육 등의 반찬이 첩에 포함된다. 숙육은 삶은.. 2025. 2. 2.
'칼은 선물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것이 진짜? 흔히, '칼은 선물하는게 아니다' 또는 '칼은 선물하면 안된다'라고 막연하게 이야기 하는데 경우가 많은데 과거 옛 시절 부터 그랬는지가 궁금했다. 그리고 그것이 사실인 걸까? 칼 선물의 의미, 정말 선물하는 게 아닌가? 부엌에서 종이 카드를 하나 발견했다. '칼 선물의 의미'가 쓰인 일종의 제품 보증서였다. 칼 선물을 받았을 때 들어 있던 보증서였는데, 선물에 집중하다 보니 카드는 구석 한편에 보는 둥 마는 둥 치워두었던 모양이다. 카드에서 처럼, 칼 선물의 의미를 좋은 의미로 받아들이기보다는, 흔히 '칼은 선물하는 것이 아니다' 또는 '칼은 선물하면 안 된다'라고 막연하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혹은 칼을 선물로 주더라도 선물을 받는 사람이 액땜 차원에서 천 원 정도의 소액을 줘야 한다. 실제로는 선물이.. 2022. 10. 30.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