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도락, 맛집 탐험/아내와 함께한 맛집

[광화문 맛집 - 광화문국밥] 찐 돼지국밥과 온면, 그리고 제대로 된 가자미 식해!

by 회자정리 군 2024. 3. 1.
300x250

광화문 맛집 - 광화문 국밥
 


위치가 광화문역에서 그리 멀지 않다. 

시내에 이런 위치 국밥이 있는지 미처 몰랐다니... 꽤 역사가 있는데도 말이다. 역시나 알지 못하는 맛집이 곳곳에 숨어 있다는 것이... 새로운 곳을 만나는 기쁨이 맛집을 찾아가는 원동력이기도 하다. 

 

브레이크 타임을 지나 오후 5시 반부터 영업을 재개하는데, 아내가 나보다 조금 더 일찍이 도착했다. 일행이 오지 않으면 입장이 불가능하다고... 6시 근방이 되어서 도착, 운 좋게 기다리지 않고 입장했다. 
 

광화문 국밥 입구
광화문 국밥 입구

 

 

아직 본격적인 퇴근 시간이 되지도 않았는데, 사람들이 금방 들어차기 시작했다. 역시나 미쉐린 맛집이긴 한가 보다. 입구부터 미쉐린 맛집 4개가 붙여 있는 것을 보면, 대중적이면 메뉴이면서도 맛까지 사로잡은 그런 곳임에 틀림없어 보인다. 당연히 맛에 대한 기대는 덤! 

 

기본찬메뉴판
기본 반찬 메뉴판

 

앉자마자 기본 반찬. 섞박지, 젓갈, 쌈장, 고추와 마늘.

아내와 오기 전에 돼지국밥 하나와 메밀온면을 시키기로 마음먹었다. 나는 온면을 특히나 좋아하는 편이기 때문이다. 

 

사실, 돼지국밥은 처음 경험이 중요한데. 

사회생활을 하면서 처음 접했던 돼지국밥의 기억이 별로 좋지 않다. 맛도 그랬지만 냄새가 별로였다. 그래서 그 이후로는 돼지국밥이라면 돼지냄새가 나는 국밥으로 치부했었다. 

 

하지만, 광화문 국밥의 경우 냄새 하나 없이 신세계라는 평도 많았기에 제대로 된 돼지국밥을 먹어보겠다는 호기심으로 국밥, 온면으로 주문했다. 

 

돼지국밥
돼지국밥
메밀 온면
메밀 온면

 

 

돼지국밥은 소고기 국밥처럼 깊은 맛보다는 다소 가벼운 느낌이다. 냄새가 1도 없다고 할 수는 없지만 거슬리거나 한 정도가 아닌 돼지고기의 일반적인 향으로 느껴지는 정도다. 

 

그리고 온면은 고기 육수에 멸치육수를 섞어 좀 더 감칠맛이 입에 머문다. 온면답게 면의 탄력은 없지만 그 또한 투박한 매력포인트가 아닐까? 

국밥이나 온면에 있는 돼지고기는 수비드를 한 것처럼 아주 부드럽다. 기호에 따라 쌈장을 올려 먹으면 간도 좋고 고급진 수육을 먹는 듯 한 맛있는 맛이다. 

 

돼지고기
돼지고기 한점

 

그리고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는 가마지 식해. 

사실은 옆 테이블에서 먹고 있는 가마지 식해 비주얼을 보고 아내와 함께 저 음식이 무엇인지 물어보고 바로 주문했다. 그러고 보니 제대로 된 가마지 식해를 먹어본 적이 없지 싶다. (아니면 반찬처럼 먹었다 해도 이게 가자미식해인가라는 인지를 못했을지도...) 

 

가자미 식해
가자미 식해

 

'식해(食醢)'는 '생선을 토막 내어 소금과 흰밥, 고춧가루, 무 따위를 넣고 버무려 삭힌 음식'이다. 이중 가자미식해는 매조밥으로 밥을 지어 양념과 함께 삭히는 것이다. 해는 '생선젓' '어초(魚酢)' '어해(魚醢)'라는 뜻을 지닌 한자다. 우리가 흔히 아아는 전통음료 식혜 (食醯)와는 '해', '혜'자가 다른 한자다.  

 

가자미식해를 비롯해 돼지국밥 등 먹어보니 역시나 이곳이 왜 유명한 곳인지 고개가 끄덕여지는 곳이었다. 정갈한 음식과 깨끗한 매장. 그리고 맛도 깔끔하고 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는 곳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나와 아내 모두 만족한 식사이자 맛집 탐방이었다. 

 

돼지국밥 10,000원 / 메밀온면 10,000원 (한정메뉴) / 가자미식해 13,000원

 

정리의 별점 ★★★★☆

 

 

가자미식해란? 

 

함경도의 향토음식. 

만드는 방법은 물 좋은 노랑가자미를 골라 내장과 머리를 떼고 얼간으로 48시간 정도 절여 보자기에 싸서 큰 돌로 눌러놓은 다음 먹기 좋은 크기로 토막을 친다.

 

메조밥을 되직하게 지어 마늘·생강·고춧가루·엿기름가루를 섞어서 항아리에 생선과 함께 켜켜로 놓고 꼭 눌러 삭힌다. 따뜻한 곳에서는 3, 4일, 보통 1주일이면 익어 물이 올라온다. 조밥이 다 삭으면 무를 굵게 채 썰어 소금에 약간 절여 물기를 짜고 마늘·고춧가루·통깨를 넣어 버무린 것과 가자미를 섞어서 꼭꼭 눌러 담는다. 24∼30시간이 지나면 먹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함경도의 가자미식해는 가자미와 조밥·소금·고춧가루 이외에 엿기름을 섞어 담그는 점이 특성이다.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0318

 

가자미식해(가자미食醢)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가자미 식해미나리 거머리
가마지 식해 - 미나리

 

 

P.S. 미나리가 있기 때문에... 

미나리를 잘 씻는다고 해도 거머리가 나올 수 있다. 딱히, 사장님에게 이야기는 하지 않았지만, 살아있는 거머리 (정확히는 잘렸지만 살아 있는... )를 거의 다 먹고 나서 발견. 

 

재료 특성상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기도 하고 또 살아 있는 거 보면 미나리가 신선하다는 거니까.. 훗! 

특별히 컴플레인은 하지 않았다. 다른 분들도 먹으면서 잘 살펴보시길~ 

 


 

 

그리고 그날은 캔들라이트 공연을 보기 위해 가는 길에 옆에 보이던 꽈배기 집에 들러 디저트 하나! 

동성로 왕 찹쌀 꽈배기 하나를 먹었는데, 바로 튀겨서 나오니 쫀득하고 맛있었다는... 설탕을 묻히지 않고 벌꿀을 묻힌다고 하는데... ^^

 

꽤배기동성로 왕찹쌀 꽈배기
동성로 왕찹쌀 꽈배기

  
 
https://place.map.kakao.com/2067124772

 

광화문국밥 본점

서울 중구 세종대로21길 53 1층 (정동 1-48)

place.map.kakao.com

 
 

728x90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