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전체 글400 [북촌, 안국역 맛집 - 황생가칼국수] 줄 서는 곳은 다 이유가 있다! 북촌에 가끔 놀러 가다 보면 늘 줄이 길게 선 칼국수 집이 있다. 황생가 칼국수. 면을 사랑하는 1인으로써 한 번쯤 가보고 싶은데도 불구하고 너무 긴 줄에 늘 다음을 기약했던 곳. 화요일이 바로 기회다! 청와대가 일반인에 오픈된 이후로 근처에 위치한 황생가 칼국수의 대기줄은 더 길어졌다 한다. 마침, 지난 화요일에 창립기념일로 하루 쉬는 날 집에 있는 것도 답답해 황생가 칼국수를 다녀왔다. 매번 담벼락 끼고 길게 서 있던 줄이 보이지 않길래, 평일은 그래도 조금 한가한가 했었다. 그러나 건물 안쪽 마당으로 들어서니 주황색 의자가 놓여있고 기다리는 사람들이 줄 지어 있는 것이 아닌가? 예전에는 마당이 주차가 가능한 공간이었는데 주황색 의자로 대기공간을 만든 모양이다. 안내해주시는 직원 분들의 '자 이동~!.. 2022. 11. 2. [서울역 맛집 - 유즈라멘] 맑고 색다르네, 입에 착 감기는 라멘! 언제부터인가 일식 하면 스시를 제외하고는 라멘이 가장 대중적이지 않나 싶다. 최근에는 메뉴의 다양성이 가희 폭발적으로 많아졌지만, 라멘 하면 일본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오호! 맑고 착 감기는 국물! 그만큼 유명하다는 라멘집도, 특색 있는 집도 많은 게 라멘인지라... 그런데, 유즈 라멘은 보통 돈코츠 라멘과는 다르게 맑고 깔끔하다. 닭뼈와 해산물을 이용해서 육수를 낸다고 하는데 맑은 토리 빠이탄 라멘의 느낌이 있다. 개인적으로는 돈코츠의 진한 육수의 맛도 좋지만 유즈 라멘의 깔끔한 맛도 입에 착착 감기는 것이 아주 좋았다. 유즈 시오라멘 - 11,000원 / 치킨가라아게 6,000원 정리의 별점 ★★★★★ 먹다 보면 면과 육수를 무제한 리필할 수 있는데, 면도 1인분, 0.5인분 정도로 구분해서 추가할.. 2022. 11. 2. 감자탕이라 불리는 이유가 감자때문이다!? (feat. 감자탕의 어원) 음식을 좋아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음식의 유래나 원조, 또 왜 이렇게 불리게 되었는지 어원들이 궁금해진다. 그런 음식들이 너무나 많지만 평소에 설왕설래 말들이 많았던 대표적 음식 중 하나가 바로 감자탕이 아닐까 싶다. 감자탕이라 하면, 돼지 등뼈와 감자가 주 재료로 거기에 우거지나 시래기, 들깨, 깻잎 등과 양념을 넣어 끓여 낸 탕이다. 가격도 비싸지 않고 저렴하고 푸짐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이다. 점심에는 뚝배기에 보글보글 끓여 나온 한 그릇은 든든한 한 끼로도 손색이 없고 저녁에는 전골냄비에 등뼈를 발라 먹으며 마시는 반주를 개인적으로도 참 좋아한다. 그렇게 먹다 보면 누군가가 이런 말을 툭 꺼낸다.감자가 들어가서 감자탕인가? 그러면 감자탕에 대한 어원과 유래에 관련해 본인들이 주워들은 이야기들.. 2022. 10. 30. '칼은 선물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것이 진짜? 흔히, '칼은 선물하는게 아니다' 또는 '칼은 선물하면 안된다'라고 막연하게 이야기 하는데 경우가 많은데 과거 옛 시절 부터 그랬는지가 궁금했다. 그리고 그것이 사실인 걸까? 칼 선물의 의미, 정말 선물하는 게 아닌가? 부엌에서 종이 카드를 하나 발견했다. '칼 선물의 의미'가 쓰인 일종의 제품 보증서였다. 칼 선물을 받았을 때 들어 있던 보증서였는데, 선물에 집중하다 보니 카드는 구석 한편에 보는 둥 마는 둥 치워두었던 모양이다. 카드에서 처럼, 칼 선물의 의미를 좋은 의미로 받아들이기보다는, 흔히 '칼은 선물하는 것이 아니다' 또는 '칼은 선물하면 안 된다'라고 막연하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혹은 칼을 선물로 주더라도 선물을 받는 사람이 액땜 차원에서 천 원 정도의 소액을 줘야 한다. 실제로는 선물이.. 2022. 10. 30. 브릭스? 과일 당도가 궁금해! 마트 과일코너에서 브릭스라는 단어를 보는 일이 너무 당연해 졌다. 과일의 당도를 수치화 한 것이라고 하는데 정확하게 어떤 의미일까? 브릭스? 그게 뭔데?언제부터인가? 마트에서 과일을 고를 때마다 찾아보는 것이 생겼다. 일명 브릭스. 즉, 당도 수치를 꼼꼼하게 따져보게 된다. 대형마트에서 통상적으로 수박은 최소 12 brix 정도는 되어야 적정한 품질로 여겨지는 것 같다. 브릭스(brix)란 독일 화학자 아돌프 브릭스(1798~1870)의 이름을 딴 것으로 기존 당의 농도를 결정하는 방식을 개선해 만든 것이다. 100g 용액에 x g의 당이 있으면 x brix가 된다. 즉, 백분율과 동일한 개념이다. 단맛은 주로 저분자의 당류의 맛이다. 쉽게 말해 설탕, 꿀 따위인데 과일의 품종 개량 및 고급화 전략으로 .. 2022. 10. 28. [종로 맛집 - 이태리재] 뇨끼 그리고 어란파스타 뇨끼? 어란? 그게 뭐야? 수요 미식회 그리고 냉장고를 부탁해라는 프로그램이었던 것 같다. 식재료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계기가 되었던 시점이 말이다. 특이한 맛집 그리고 평소에 볼 수 없는 재료들이 화면에 등장했고 몇 년이 지난 지금은 온 국민이 아는 재료나 요리들이 너무 많다. 재료로 가장 대중화가 된 건 단연 트러플! 요즘은 트러플 오일이 들어간 메뉴가 주변에 널렸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어란, 뇨끼도 요리 프로그램으로 대중화가 된 재료가 아닐까 싶다. 어란이란, 숭어, 민어 등 생선 알집을 통재로 빼내 핏물을 제거하고 염장한 뒤 바람에 천천히 눌러 말리는 과정을 거쳐 만든다. 어느 정도 꾸덕해지면 참기름을 수시로 발라줘야 하는 고급 식재료다. 또, 뇨끼는 쉽게 말해 서양식 수제비라고 말할 수.. 2022. 10. 27. 냄새에 대한 분류 냄새에 대한 의문... 과거에 맡았던 냄새로 특정한 일이나 사람을 기억해 내는 현상을 프루스트 현상*이라 한다. 실제로 사람의 체취는 그 사람에 대한 기억을 더 각인시키기도 하고, 근래에는 향기 마케팅이라는 이름으로 제품, 매장, 서비스 공간 등에서도 여러 형태로 마케팅적 접근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런데, 냄새는 후천적 학습에 의해 결정된다는 말이 있는데 좋고 싫고의 시작은 무엇이었을까? 세상의 모든 냄새를 다 맡아서 학습한 것도 아니고, 어떤 유형이나 카테고리를 묶어 유사한 냄새라면 좋고, 그 반대는 싫고 가 모두 정해졌다면 설득력이 있을까? 최초 인류가 특정 냄새를 처음 마주했을 때 그는 또는 그녀는 그 냄새를 좋은 냄새로 혹은 나쁜 냄새로 여겼을지 궁금하다. 지금의 우리는 그의 직관적 감각을 믿을.. 2022. 10. 25. [서울근교, 파주 맛집 - 교하제면소] 뼈와 칼국수의 만남! 들어는 봤는가? 뼈 칼국수!... 어느 브런치 글에서 읽게 된 뼈칼국수. 그랬다. 뼈해장국에 사리를 넣은 것도 아니고 뼈칼국수라? 다소 생소했으나 먹게 된다면, 왠지 익숙하면서도 맛있을 것 같은 느낌과 비주얼에 압도돼 꼭 한 번 가보겠노라 했던 곳. 거리가 거리인지라 근처 나들이로 파주출판도시를 가면서 다녀왔다. 글로 만났을 때 보다 시간이 좀 지나서, 꽤 유명세가 높아져버렸다. 주말에는 대기가 많다는 소식에 11시가 되기 전에 도착할 요량을 출발. 다행히 10시 50분 쯔음에 도착! 주차를 안내에 따라 주차를 하고 대기를 위한 키오스크에 전화번호를 입력하니 다행히 대기 번호 2번! 그리고 11시가 되자 빠르게 대기 번호가 올라가고... 11시 20분이 되자 입장이 시작된다. 이때 대기팀이 이미 15팀이.. 2022. 10. 23. 이전 1 ··· 47 48 49 50 다음 728x90 728x90